믿음과 열린 귀를 주소서

누가복음 4장 25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엘리야 시대에 하늘이 삼 년 육 개월간 닫히어 온 땅에 큰 흉년이 들었을 때에 이스라엘에 많은 과부가 있었으되
26 엘리야가 그 중 한 사람에게도 보내심을 받지 않고 오직 시돈 땅에 있는 사렙다의 한 과부에게 뿐이었으며
27 또 선지자 엘리사 때에 이스라엘에 많은 나병환자가 있었으되 그 중의 한 사람도 깨끗함을 얻지 못하고 오직 수리아 사람 나아만뿐이었느니라

하나님께서는 그 약속하신 바를 반드시 지키시는 신실하신 분입니다.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에서 지는 것처럼 하나님의 말씀은 반드시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에게 예언하시고 약속하신 일들도 잊지 않고 행하실 것입니다.

마지막 때의 일의 중심에는 이스라엘 민족과 예루살렘 성전이 있습니다. 이것을 알고 있는 사단이 이방인들과 교회들을 부추켜 그들을 미워하고 박해하게 만드는 것을 ‘반유대주의’ 라고 합니다.

반유대주의의 근간이 되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카톨릭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인들의 반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바로 그들이 예수님을 죽였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하나는 그들이 스스로를 하나님의 택하신 민족으로 여기는 선민사상이 있어서 몹시 교만하다는 것입니다. 저도 유대인과 거래를 해본 적이 있는데 정말 최악의 경험이었습니다.

어제 한 말을 오늘 아무렇지도 않게 바꾸는데 알고보니 그것이 유대인들이 이방인들을 대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율법에서 이웃을 사랑하라고 한 것은 유대인들 사이에 관한 말씀이지 이방인들은 짐승처럼 생각해도 된다고 가르쳤다고 합니다.

그러나 오늘의 본문을 보면 하나님께서 택하신 민족이라 할지라도 그 마음이 하나님께 바르지 못하면 버림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바울은 표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 아니고 내면적 유대인이 참 유대인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 내면적 유대인은 마음에 할례를 받은 사람을 말합니다. 로마서에 보면 할례는 아브라함이 가졌던 믿음의 표로 받은 것이지 할례가 믿음의 증거는 아니라고 말씀합니다.

오늘 주님께서 말씀하신 사렙다의 과부는 어떤 사람이었습니까? 이방 땅인 시돈의 과부였는데 엘리야가 가서 그가 가진 마지막 식량을 달라고 했을 때 믿음으로 순종한 사람이었습니다.

얼마 전에 나누었던 두 렙돈을 헌금함에 넣은 여인도 과부였는데 당시의 과부는 고아와 같은 레벨로 취급 받을 정도로 불쌍하고 미래가 없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간신히 먹고 살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삼 년 반의 흉년을 만났으니 얼마나 어려웠겠습니까? 아끼고 아낀 밀가루와 기름이 엘리야를 만난 그날로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엘리야가 나타나서 그 떡을 자기에게 달라는 것입니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강도보다 뻔뻔한 일이었지만 그녀는 선지자의 말에 순종했습니다. 하나님께서 그 믿음을 보셨고 흉년 내내 이적을 통해 가루와 기름을 공급하셔서 무사히 넘길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가장 어려운 순간에 증명되는 것이 믿음입니다. 만약 유대 땅에 그런 믿음을 가진 과부가 있었다면 하나님께서 엘리야를 그곳에 보내셨겠지만 이런 믿음을 가진 사람이 이방 땅에 있었기 때문에 엘리야가 그곳에 가게 된 것입니다.

또 나아만 장군은 어떤 사람입니까? 이스라엘의 주요 적대국가 중 하나인 아람의 군대 장관으로 나병을 고치기 위해 이스라엘에 왔습니다. 이는 겸손하고 지혜로운 사람이었습니다.

강대국 아람의 군대장관인 나아만이었지만 그 화려한 제복 안에는 심한 나병을 앓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에서 포로로 잡혀온 여종이 선지자 엘리사에 대해 말하며 나아만이 그에게 가면 치료 받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아람은 강대국이었기 때문에 얼마든지 엘리사를 아람으로 보내주기를 요청할 수도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 온갖 선물을 가득 싣고 이스라엘에 찾아옵니다. 이 모습만 보아도 그는 겸손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겸손한 모습에도 불구하고 엘리사는 그를 특별하게 대접해주지 않았습니다. 얼굴 한 번 내밀지 않고 그저 요단강에 일곱 번 몸을 담그라는 말만 사환을 통해 전해준 것입니다.

화가 나서 아람으로 돌아가려던 그는 “선지자가 더한 것을 하라고 해도 하지 않았겠습니까?”라고 말하는 하인의 말에 마음을 돌이켜 선지자의 말에 순종하고 그 나병이 고침을 받게 되었습니다.

당시 강대국의 장군이라는 자리는 어지간한 사람의 목숨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권세가 있었습니다. 그런 장군이 먼저 고개를 숙였는데 푸대접을 받은 것입니다. 화가 나서 아람으로 돌아가는데 부하가 하는 말을 듣고 다시 말머리를 돌렸습니다.

얼마나 지혜롭습니까? 앞뒤 계산이 분명해서 지금 아쉬운 사람은 자기라는 것을 안 것입니다. 이렇게 지혜는 간절함과 겸손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내면적 할례가 바로 이런 것입니다. 가장 어려울 때에도 말씀에 순종하고 비록 하인이라 할지라도 옳은 것을 말하면 마음을 바꿀 수 있는 사람들이 마음에 할례받은 사람들인 것입니다.

진리가 마음의 문을 두드리는데도 이전에 가졌던 얄팍한 지식이나 자존심 때문에 순종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것을 완고하다 또는 완악하다고 합니다. 마음이 굳어져서 어떤 말씀에도 움직이지 않는 것이지요.

마음이 굳어버린 사람은 젊은 자라도 변할 가망이 없습니다. 노방전도를 하면서 어떤 이유에서인지 기독교에 대한 악감정을 가진 젊은이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들의 얼굴을 보면 완고하다는 것이 무엇인지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복음이 들어갈 자리가 보이지를 않습니다.

반면에 마음이 부드러운 사람은 노인이라도 다릅니다. 남의 말에 귀를 열고 듣습니다. 말년이라는 말을 들을 나이에도 배울 것은 배우고 고칠 것은 고칩니다. 그렇게 노년에 예수님을 영접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선택 받은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선택하실 수 있는 사람이 있는 것입니다. 부드러운 마음, 겸손한 지혜를 가지고 주님 마음에 드는 사람이 되기를 예수 이름으로 간절히 축원합니다.

  1. 가장 마지막 남은 것도 주님께 맡길 수 있는 믿음을 주소서
  2. 부드러운 마음을 주시고 열린 귀를 주셔서 주님께서 열어주신 길을 택하게 하소서

Related Articles

그릇을 준비하라

누가복음 4장 25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엘리야 시대에 하늘이 삼 년 육 개월간 닫히어 온 땅에 큰 흉년이 들었을 때에 이스라엘에 많은 과부가 있었으되26   …

(29)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마음

로마서 2장 25 네가 율법을 행하면 할례가 유익하나 만일 율법을 범하면 네 할례는 무할례가 되느니라 26 그런즉 무할례자가 율법의 규례를 지키면 그 무할례를 할례와 같이…

피 흘려 가르쳐 주신 심판

마태복음 25장 1 그 때에 천국은 마치 등을 들고 신랑을 맞으러 나간 열 처녀와 같다 하리니2 그 중의 다섯은 미련하고 다섯은 슬기 있는 자라3 미련한…

서로 비방하지 말라

야고보서 4장 11 형제들아 서로 비방하지 말라 형제를 비방하는 자나 형제를 판단하는 자는 곧 율법을 비방하고 율법을 판단하는 것이라 네가 만일 율법을 판단하면 율법의 준행자가…

사도행전 7장 51 – 53

사도행전 7장 51   목이 곧고 마음과 귀에 할례를 받지 못한 사람들아 너희도 너희 조상과 같이 항상 성령을 거스르는도다 52   너희 조상들이 선지자들 중의 누구를 박해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