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소금과 빛 마 5:13-16
13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 데 없어 다만 밖에 버려져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14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 산 위에 있는 동네가 숨겨지지 못할 것이요
15 사람이 등불을 켜서 말 아래에 두지 아니하고 등경 위에 두나니 이러므로 집 안 모든 사람에게 비치느니라
16 이같이 너희 빛이 사람 앞에 비치게 하여 그들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
성도가 세상의 소금과 빛이라는 주님의 말씀은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말씀입니다. 하지만 너무 익숙해서 그 뜻을 깊이 생각해보지 않고 놓치는 것은 없는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왜 주님께서는 소금과 빛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셨을까요? 오늘은 이 전체 문장을 잘 생각하면서 소금과 빛의 의미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선 소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분들은 소금은 모든 것을 쉽게 썩지 않도록 보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성도가 세상이 타락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말합니다. 충분히 공감할 만한 해석이지만 주님이 강조하신 것은 ‘맛’입니다.
빛과 소금의 가장 분명한 차이는 빛은 멀리서도 보이는 것이고 소금은 입에 넣어봐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소금은 성도의 본질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성도가 주님의 성품을 품고 있지 않으면 사람들에게 외면을 당합니다.
지금 우리 나라의 기독교가 왜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습니까? 그동안 열심히 복음만을 전했기 때문이아닙니다. 가족, 이웃, 동료 등의 관계로 성도들과 사귀어 본 사람들이 그 맛을 보고 땅에 버리고 밟아버리는 것입니다.
우리들의 가족이나 이웃 직장 동료들이 우리를 보고 예수님을 조금이라도 알게 되고 있는지요. 우리는 “그 사람 정말 사귀어 볼수록 정직하고 정결하며 희생적인 것을 보니 기독교가 무엇을 말하는지 알겠다.”라는 말을 듣고 있느냐는 말입니다.
주님 때문에 욕을 먹고 박해를 당하고 모함을 당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우리의 성품이 이기적이고 예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과 똑같은 것 때문에 욕을 먹는다면 우리는 맛을 잃은 소금인 것입니다.
빛은 무엇일까요? 주님께서 하시는 말씀은 멀리서도 보이는 것, 동시에 어두운 곳을 밝히는 것입니다. 마지막 절에 주님께서는 그 빛이 “너희의 착한 행실”이라고 가르쳐 주십니다.
착한 행실은 원어상으로도 문자 그대로 착한 행실입니다. 사람들이 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만한 일들이니 믿지 않는 사람이 보아도 그 동기나 결과가 착한 일을 말합니다.
이 착한 일에는 가난한 자를 돕는다든지, 병든 자를 돌보아준다든지, 고아와 과부를 먹이고 입힌다든지, 부모를 섬기고 그들에게 순종하는 것 같은 일들이 있습니다. 또 남의 유익을 위해서 나의 유익을 포기하는 것 같은 일들이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소금의 이야기와 비슷하게 보이지만 소금은 그 사람과 사귀어야 알 수 있는 성품이고 빛은 그 사람과 사귀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들을 말한다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그 불은 켜는 사람이 있습니다. 즉 주님께서 우리 안에 그 불을 켜십니다. 그리고 숨겨 놓지 않으시고 가장 그 불이 잘 보일 곳에 놓으십니다. 우리 안에 주님께서 켜신 빛이 있다면 주님은 우리를 잘 보이는 곳에 두신다는 말입니다.
혼동하지 말 것은, 등불을 등경 위에 두는 일은 바리새인들이 시장 어귀에서 손을 들고 기도하거나 사두개인들이 사람들이 보는 곳에서 구제하는 것과 같은 자기 자랑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기독교의 위인들 중에는 살아 있을 때에는 아무도 그 사람의 믿음이나 사역들을 모르다가 죽은 다음에야 알려진 사람들이 있습니다.
데이빗 브레이너드는 인디언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그 생을 불살랐기 때문에 채 서른이 되기 전에 주님의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그가 받는 고난이나 사역의 내용들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가 임종을 지켰던 그의 예비 장인, 조나단 에드워즈 목사님이 그가 일기를 쓰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그에게 일부를 출판해도 좋다는 허락을 받아 책을 내게 됩니다. 그 책이 바로 18세기 이후의 모든 목회자와 선교사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지금도 끼치고 있는 ‘데이빗 브레이너드의 생애와 일기’입니다.
감리교의 기초를 다진 존 웨슬레, 현대 최초의 선교사 윌리엄 캐리를 비롯한 우리가 아는 18세기 이후의 모든 기독교의 성자들이 다 이 사람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그를 가까이에서 사귄 사람들은 예수님이 누구신지 간접적으로 경험했고 멀리 있늩 사람들은 그의 사역을 통해 기독교 신앙의 본질에 대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소금과 빛입니다.
누군가는 그를 채 꽃을 피워보기도 전에 졌다고 하겠지만 인류 역사에 그보다 더 활짝 꽃을 피운 사람이 얼마나 있겠습니까? 복음은 누구나 성령님께 순종하면 이런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부디 산상수훈의 말씀과 주님의 생애를 깊이 묵상하시기 바랍니다. 정말 하나님을 사랑하고 누군가의 유익을 위해서 자기 목숨을 줄 만한 성도가 되기를 간절히 사모하시기를 바랍니다.
입에만 붙어있는 빛과 소금이 아니라 주님과 세상이 인정하는 빛과 소금이 되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