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찌꺼기 같은 우리
우리가 지금까지 세상의 더러운 것과 만물의 찌꺼기 같이 되었도다 (고전4:13)
위 구절은 과장된 표현이 아닙니다. 위 내용이 소위 복음 사역작들인 우리에게 해당되지 않는 이유는, 바울이 이 내용을 쓸 당시 정확한 의미를 몰랐기 때문이 아닙니다.
우리에게 너무 많은 세상의 애착들이 남아 있어서 우리는 만물의 찌꺼기가 되기를 스스로 거절하기 때문입니다.
거듭나서 거룩하게 될 때 누구나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채우는’ 것은 아닙니다. 오직 복음을 위해 따로 구별된 자가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채우게 됩니다.
베드로는 “너희를 연단하려고 오는 불 시험을 이상한 일 당하는 것 같이 이상히 여기지 말라”(벧전 4:12)고 말합니다. 우리가 겪는 여러 고난을 이상하게 여긴다면 이는 우리 마음이 겁으로 차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불시험을 피할 수만 있다면 약삭빠르게 빠져나갈 것입니다. “나는 복음 때문에 부끄러움을 당하고 싶지는 않아. 사람들에게 굽히고 싶지 않아” 울론 당신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간신히 구원도 받게 될 것입니다. 당신은 얼마든지 복음을 위해 당신을 따로 구별하시는 하나님을 거절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당신은 “복음만 증거된다면 나는 이 땅에서 찌꺼기 같이 대우 받아도 상관없다”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란 하나님의 복음의 실체를 위해 순교할 각오를 한 자들입니다.
단지 도덕적인 사람이라면 부끄러움이나 부도덕을 경험하거나 배신을 당하게 될 때 그 악영향이 그의 선함에 너무나 큰 충격을 주기에 그의 마음은 절망으로 닫히게 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구속의 실체가 놀라음은 아무리 나쁘고 악한 사람이라도 하나님의 사랑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바울은 하나님께서 그를 얼마나 훌륭한 사람으로 만들 수 있는지를 보여주시기 위해 자신을 구별했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단지 “내 안에 계신 하나님의 아들을 보여주기 위해” 구별되었다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