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8장 1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2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정죄(심판)을 면하려면
로마서 8장 1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2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로마서 8장 1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2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로마서 6장 15 그런즉 어찌하리요 우리가 법 아래에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에 있으니 죄를 지으리요 그럴 수 없느니라16 너희 자신을 종으로 내주어 누구에게 순종하든지 그
물질적인 번영이 영적 번영을 드러내는 결정적인 증거는 아니다. 전자는 후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물질적인 번영은 교계 지도자들의 눈을 쉽게 현혹해 그것을 영적 번영으로 착각하게
하나님의 택하신 백성에게 거룩한 씨앗을 심고 기르고 온전하게 하는 것이 하나님이 이 세상에서 행하시는 사역이다. 우리는 이 사실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 그러면 한 가지 질문을 던져보자.
로마서 6장 12 그러므로 너희는 죄가 너희 죽을 몸을 지배하지 못하게 하여 몸의 사욕에 순종하지 말고13 또한 너희 지체를 불의의 무기로 죄에게 내주지 말고 오직
로마서 6장 10 그가 죽으심은 죄에 대하여 단번에 죽으심이요 그가 살아 계심은 하나님께 대하여 살아 계심이니11 이와 같이 너희도 너희 자신을 죄에 대하여는 죽은 자요
로마서 6장 1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을 하리요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겠느냐2 그럴 수 없느니라 죄에 대하여 죽은 우리가 어찌 그 가운데 더 살리요3
“너희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고.” 고린도 교회의 성도들은 나약하 고 육신적이며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아이와 같았다. 그래서 바울은 초창기 사역 때까지 그들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음을
로마서 5장 12 그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13 죄가
로마서 5장 5 소망이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아니함은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 됨이니6 우리가 아직 연약할 때에 기약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겸손한 마음과 온유한 심정은 사람과의 관계나 서로 대하는 태도에서 나타난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겸손을 이웃에게 나타내지 못하면 하나님 앞에서의 우리의 겸손이란 가치 없는 것이 되고
로마서 5장 3 다만 이뿐 아니라 우리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하나니 이는 환난은 인내를,4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로다5 소망이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아니함은
고후 6:4 “오직 모든 일에 하나님의 일꾼으로 자천하여 많이 견디는 것과 환난과 궁핍과 곤난과” 더 이상 비전도 없고 소망도 없는 가운데서 그 다음 단계를 향하여 나아가기 위하여는 전능자의 은혜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으로부터 어떠한 비전도 없고 그래서 열정도 전망도 없을 때, 헌신에 있어서, 연구에 있어서, 읽는데 있어서, 주부의 부엌일을 하는데 있어서, 책임에 있어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하여 하나님의 은혜가 훨씬 더 필요한 것입니다. 그 다음 단계를 향하여 나아가기 위하여는, 복음을 선포할 때보다 더 많은 은혜가 필요하기 때문에 더 간절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가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성육신의 근본에 참여하여야 합니다. 성육신의 근본이 그들의 살과 피가 활동하는 영역으로 나타나도록 하여야 하고, 그들의 손길을 통해서 성육신의 근본이 전달되어야 합니다. (역자 주 – 챔버스에게 있어서 성육신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역사적인 성육신과 각 개인에게 성령을 통하여 나타나는 성육신, 곧 거듭남이 있습니다. 챔버스는 이 간단한 한 구절로 구속과 거듭남을 성육신의 근본에 다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비전이 없고 활기가 없고 오직 매일 되풀이 되는 지루한 일들만 있을 때 우리는 백기를 흔들어 항복을 표합니다. 그러나 성육신의 근본을 적용하는 자는 끝까지 인내할 수 있습니다. 결국 하나님과 사람을 위하여 의미 있는 삶을 살게 되는 것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꾸준하게 인내하는 것입니다. 짓눌리지 않는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비결은 하나님만을 바라보며 사는 것입니다. 당신의 눈이 부활하신 예수님께 언제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님께 기도하십시오. 그리하면 진부하고 고리타분한 일들이라도 결코 당신을 지치게 하지 못할 것입니다. 계속적으로 조잡하고 소심한 마음과 생각에서 벗어나십시오. 이를 위하여 (예수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셨던) 요한복음 13장을 묵상하십시오
로마서 5장 1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자2 또한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믿음으로 서 있는 이
시 87:7 “나의 모든 근원이 네게 있다 하리로다.” 우리 주님은 절대로 우리의 자연적인 덕을 이리저리 뜯어 고치시지 않습니다. 주님은 우리의 내면에서 전인적인 “새사람”을 만드십니다. “너희는
삼상 3:15 “사무엘이 … 그 이상을 엘리에게 알게 하기를 두려워하더니” 하나님은 깜짝 놀랄만한 방법으로 말씀하지 않으십니다. 오해하기 쉬운 방법으로 말씀하십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음성이 정말로 하나님의 음성인가”하고 의아해 합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강한 손으로” 말씀하셨다고 말합니다. 곧 섭리를 통하여 강권하셨다는 뜻입니다. 우리의 인생을 만지시는 분은 다름 아닌 말씀하시는 하나님 그분이십니다. 당신은 발생하는 상황을 우연으로 봅니까? 아니면 그 상황에서 하나님의 손길을 분변합니까? “주님, 말씀하소서”라고 말하는 습관을 길러 보십시오. 그러면 인생은 하나님과의 사랑의 연주곡이 될 것입니다. 어려운 일이 닥칠 때 마다 “주님, 말씀하소서”라고 말하십시오. 그리고 주의 음성을 듣는 시간을 만드십시오. 경책은 징계만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이상을 의미합니다. 즉 경책은 우리로 하여금 “주님 말씀하소서”라고 고백하는 자리로 인도합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말씀하신 때가 언제였는지 기억해 보십시오. 주님께서 무엇을 말씀하셨는지 잊으셨나요? 누가복음 11:13절이었는지 아니면 데살로니가전서 5장 23절이었는지 헷갈리나요? 주의 음성을 들으면서 우리의 귀는 예리하여집니다. 그리고 예수님처럼 하나님의 음성을 항상 들을 수 있게 됩니다. 하나님이 내게 보여주신 것을 나의 “엘리 제사장”에게 말해야 하는 것일까요? 바로 이 부분이 순~종을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딜레마에 빠지는 부분입니다. 나는 내게 가장 가까운 “엘리 제사장”의 마음을 상하지 않게 하려고 스스로 해결해 보려고 하다가 하나님을 불순종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무엘에게 엘리에게 말하라고 하지는 않으셨습니다. 그러므로 사무엘은 그 문제를 스스로 결정해야 했습니다. 당신을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은 어쩌면 당신의 “엘리 제사장”에게 아픔을 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삶의 고통을 막으려다가 당신과 하나님 사이에 방치해물을 놓을 수도 있습니다. 오른 손을 잘라내지 않고 눈을 뽑으려 하지 않다가 당신의 생명마저 잃을 수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당신 스스로 하나님 앞에서 결정하도록 요구하시는 것에 대하여 다른 사람의 조언을 얻으려 하지 마십시오. 만일 조언을 얻으려 하면 당신은 거의 언제나 사탄의 편에 서게 될 것입니다 오스왈드 챔버스의 ‘주님은 나의 최고봉’ 중에서
로마서 4장 1 그런즉 육신으로 우리 조상인 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 하리요2 만일 아브라함이 행위로써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면 자랑할 것이 있으려니와 하나님 앞에서는 없느니라3 성경이 무엇을
로마서 3장 19 우리가 알거니와 무릇 율법이 말하는 바는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에 있게
로마서 8장 1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2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로마서 6장 15 그런즉 어찌하리요 우리가 법 아래에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에 있으니 죄를 지으리요 그럴 수 없느니라16 너희 자신을
물질적인 번영이 영적 번영을 드러내는 결정적인 증거는 아니다. 전자는 후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물질적인 번영은 교계 지도자들의 눈을 쉽게
혹시 당신은 내가 말하는 회개가 무엇인지 모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당신에게 회개하라고 하면 나는 헛수고를 하는 셈이니 회개에 대해 알려주겠다. 당신은 전혀 변하지 않았으면서도 하나님의 긍휼을 은근히 기대하고 있을 수도 있으니 회개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하겠다.
혹시 당신이 이미 회개했다는 헛된 자만에 빠져 마음의 문을 굳게 닫고 있지는 않은가? 그렇다면 당신에게 회개하지 않은 자의 특징이 무엇인지 보여주겠다. 또한 당신이 아무런 영적 갈등을 느끼지 않아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고 마치 배의 돛대 꼭대기에서 잠을 자는 것 같은 상태에 빠져 있을 수도 있다.호 이럴 경우에 대비하여 나는 회개하지 않은 자들의 비참함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지금 당신은 빠져나갈 길이 전혀 보이지 않아서 미동도 없이 가만히 앉아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어떻게 회개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해주겠다. 끝으로 모든 사람들을 소생시키기 위해 회개의 동기에 대해서도 말하겠다.
회개케 하시는 분은 누구인가?
우리는 ‘성령의 거룩하게 하심’(살후 2:13) 또는 ‘성령의 새롭게 하심’(딛 3:5)으로 회개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성삼위 가운데 성부와 성자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사도 베드로는 우리에게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을 찬송하라고 가르친다. 그리스도는 “이스라엘로 회개케 하시는 분”(행 5:31) 또는“영존초유하시는 아버지”(사 9:6)라고 불리신다. 그리고 우리는 그리스도의 자손 또는 “하나님께서 (예수에게) 주신 자녀”(히 2:13)라고 불린다.
그런데도 성경은 회개를 주로 성령의 사역이라고 가르치면서 그리스도인들을 "성령으로 난 사람” (요 3:5,6)이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회개는 인간이 가진 능력의 한계를 벗어나는 일이다. 우리는 “혈통으로나 육정으로나 사람의 뜻으로 나지 아니하고 오직 하나님께로서 난 자들”(요 1:13)이다. 당신 스스로 자신을 회개시킬 수 있다고 착각하지 말라.
당신이 회개하여 구원을 얻고 싶다면 먼저 당신의 힘으로 회개하겠다는 생각을 버려라. 회개는 죽은 자의 상태에서 다시 사는 것이며(엡 2:1),새로운 창조이며(갈 6:15 ; 엠 2:10),전능하신 분의 능력으로 이루어지는 일이다(엠 1:19). 이런 것들은 인간 능력의 한계를 뛰어넘는 일이다. 당신에게 선천적으로 선한 성품이나 온유하고 고상한 기질만 있다면 당신은 회개하지 않은 것이다. 회개는 초자연적인 일이다.
우리 속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거저 주시는 은혜
성경은 “우리를 구원하시되 우리의 행한 바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지 아니하고 오직 그의 긍휼하심을 좇아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으로 하셨나니”(딛 3:5)라고 가르친다. 또한 “그가… 자기의 뜻을 좇아 진리의 말씀으로 우리를 낳으셨느니라”(약 1:18)라고 중거한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거룩해서 택하신 것이 아니라 우리를 거룩하게 하시려고 택하고 부르셨다(엠 1:4).
하나님 보시기에 인간의 속에 하나님의 마음을 끌 만한 것이 전혀 없고, 오히려 불쾌하게 할 만한 것이 있을 뿐이다. 그분의 눈에 사랑스러운 것이 인간에게 없고, 혐오감을 불러일으킬 만한 것이 있을 뿐이다.
당신 자신을 되돌아보라. 당신의 호색한 본성, 당신 안에 있는 음식 찌꺼기처럼 더러운 것 그리고 당신이 한때 좋아했던 진흙탕을 깊이 생각해보라(벧후 2장). 당신 안에서 썩어 악취를 풍기는 것을 보라. 당신의 옷도 당신을 혐오하지 않는가?(욥 9:31) 그런데 어떻게 거룩함과 순결함이 당신을 사랑할 수 있겠는가?
하늘이여, 이것을 보고 놀라라. 땅이여, 이것을 보고 흔들려라. “은혜로다! 은혜로다!”라고 외치지 않아도 될 사람이 있는가?(슥4:7) 지극히 높으신 분의 자녀들이여, 내 말을 듣고 부끄러움에 몸을 떨라. 감사하지 않는 자들이여, 값 없이 받은 은혜에 대해 더 이상 말하지도 생각하지도 않는 것과 찬양하지도 높이지도 기리지도 않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라.
그토록 큰 은혜를 받았으면 언제 어디서나 마땅히 하나님을 찬양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 큰 은혜를 어찌 잊을 수 있을까? 그 은혜를 형식적으로 가볍게 언급하고 끝내려는가? 하나님과 우리가 원수가 되고 우리의 본성이 괴물처럼 변해버렸는데 무엇으로 우리를 사랑하시게 만들겠는가?
오직 주님이 값없이 주시는 은혜로만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베드로는 사랑을 담아 손을 높이 들고 “찬송하리로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이 그 많으신 긍휼대로…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벧전 1:3)라고 외쳤다. 바울 역시 “긍휼에 풍성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 사랑을 인하여 허물로 죽은 우리를 그리스도 와 함께 살리셨고(너희가 은혜로 구원을 얻은 것이라)”(엡 2:4,5)라고 그분의 긍휼을 노래했던 것이다!
죠셉 얼라인의 ‘회개하지 않은 자에게 보내는 경고’ 중에서
There was a problem reporting this post.
Please confirm you want to block this member.
You will no longer be able to:
Please note: This action will also remove this member from your connections and send a report to the site admin. Please allow a few minutes for this process to comp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