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에 대한 문제
죄에 대한 문제가 새삼 제 안에 불거지면서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감정론(RELIGIOUS AFFECTION) 을 다시 붙잡게 되었습니다. 나누고자 하는 부분은 ‘거듭난 적극적 표지 일곱 번째,성품의 변화’ 입니다. 굉장히 문장이 길고 어렵지만 잘 깊이 읽고 자신과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회심에 대한 성경의 묘사는 본성의 변화를 강하게 암시한다. 예를 들어 회심은 거듭남, 새로운 피조물이 됨,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함, 마음을 새롭게 함,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됨, 옛 사람을 벗고 새 사람을 입음, 새로운 줄기에 접붙임을 받음, 심령에 신령한 씨앗이 심겨짐, 하나님의 본성에 참예하는 자가 됨 등으로 묘사된다.
따라서 회심의 역사를 경험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크고 놀라운 영속적인 변화가 없다면, 그들이 어떻게 감정적으로 고양되었든지 간에, 그들의 모든 상상과 겉치레는 헛된 것이다.
회심은, 우리가 성격의 가르침을 존중한다면, 사람을 죄에서부터 하나님께로 돌아가게 하는 크고도 전반적인 변화다. 사람은 회심하기 전에도 죄를 짓지 않도록 자제할 수는 있다. 하지만 그가 회심하게 되면, 그는 죄를 짓지 않도록 자제할 뿐만 아니라, 그의 마음과 본성 자체가 죄에서부터 돌아서서 거룩함으로 향하게 된다.
그 결과 그는 거룩한 사람이 되며, 죄와 원수가 된다. 따라서 만일 어떤 사람이 자기 생각으로는 처음 회심을 경험했다고 하면서도, 얼마 동안 시간이 흐른 뒤, 과거에 그에게서 보였던 나쁜 성질들과 악한 습관들이 두드러지거나 뚜렷하게 변화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그가 익숙해 있었던 것과 그의 본능적인 성향에 지배를 받으며, 비그리스도인과 같이 이기적이고 육욕적이며 어리석고 사악하고 향기가 없게 보인다면 이것은 그가 체험한 일들이 굉장히 영광스럽다는 이야기들을 무색하게 만드는 매우 부정적인 증거다.
왜냐하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는 할례나 무할례나, 자기를 자랑하는 것이나, 낮추는 것이나, 영광스러운 이야기나 비천한 이야기나 다 소용이 없고, 오직 새로 지으심을 받은 자만 유용하기 때문이다.
만일 그 사람에게 잠시 동안 매우 크고 가시적인 변화가 있었지만, 그 변화가 영속적이지 않고, 그가 과거에 익숙했던 삶의 방식으로 돌아간다면, 그것은 본성이 변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본성은 영구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더러운 본성을 가진 돼지는 씻어 주어도 돼지의 본성은 그대로 남는다. 깨끗한 것을 좋아하는 본성이 있는 비둘기가 더럽혀질 수 있지만, 그 깨끗한 것을 좋아하는 비둘기의 본성은 그대로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