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 가르쳐 주신 기도 (마 6:9-13)
마태복음 6장 9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10 나라가 임하시오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11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12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
13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고 다만 악에서 구하시옵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오늘은 주님 가르쳐 주신 기도를 8절의 말씀, “구하기 전에 너희에게 있어야 할 것을 하나님 너희 아버지께서 아시느니라”라는 말씀과 연관지어서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이 기도는 일곱 가지의 간구와 하나의 선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 육신에 속한 것은 오직 하나 ‘일용할 양식’입니다. 이 말은 땅의 것은 그날 그날 주시는 것으로 족하다는 뜻입니다.
우리 중에 그날 먹을 것을 달라고 기도해 본 분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계속해서 땅에 속한 것을 구합니다. 그저 열심히 손으로 수고해서 필요한 것을 벌면 됩니다. 그것들을 가지고 기도하지 말라고 하셨으니 기도하지 않는 것이 맞지 않겠습니까?
어제도 했던 말이지만 누군가는 돈을 달라고 기도를 하고 응답을 받습니다. 그리고 돈이 정말 필요해서 구하는 것은 정욕과 상관 없는 것이니 하나님께서 그 필요에 따라 공급하십니다.
그러나 그것은 기도의 응답이 아니라 우리에게 있어야 할 것을 아시는 주님께서 기도하지 않아도 주시는 것일 수 있습니다.
어떤 선교사님이 인디안 마을에서 사역을 하는데 아침마다 어떤 사람이 하늘을 향해 이상한 춤을 추더랍니다. 그래서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뭐냐고 물어봤더니 해가 뜨게 하려고 춤을 추는 것이라고 대답하더랍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나님께서 그 약속대로 먹이시고 입히시는데 그것을 믿지 못하고 기도했고 그 기도의 응답이 아니라 하나님의 신실하신 사랑으로 주어질 것이 주어진 것 뿐일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그 기도는 그저 허공을 쳤을 뿐입니다. 우리의 기도가 이렇게 되지 않아야 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오늘 주님께서 가르쳐주시는 기도 내용의 순서를 잘 알기를 원합니다.
첫째, 하나님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셔야 합니다. 하나님의 이름이 거룩히 여기지 않는 존재는 타락한 천사들과 사람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 기도는 우리가 날마다 그 이름을 경외하게 해달라는 기도입니다.
둘째, 나라가 임해야 합니다. 기독교가 들어올 때의 문법을 따라 지금은 ‘나라가’ 가 맞는 것을 ‘나라이’라고 번역했고 개역개정 성경이 나오기 전까지 그대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나라는 성령의 나타나심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마태복을 12장 28절에세 주님께서는 “내가 하나님의 성령을 힘입어 귀신을 쫓아내는 것이면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임하였느니라” 말씀하심으로 성령이 역사하시는 것이 바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시는 것이라고 가르쳐 주셨습니다.
셋째 우리는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기도해야 합니다. 그 뜻이 이미 하늘에서 이루어졌다면 우리의 삶에 그 뜻이 이루어지는 것이 우리 안에 하늘 나라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넷째, 일용할 양식을 구해야 합니다. 즉 그날 쓸 것을 구해야 합니다. 아니 그날 쓸 것만 구해야 합니다. 정말 우리가 그날 쓸 것만 기도할 수 있다면 우리의 쓸 것을 아신다는 주님의 말씀을 전적으로 믿는 표가 될 겁니다.
다섯째, 남이 내게 지은 죄를 용서한 만큼 내 죄를 사해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정말 무서운 기도를 하고 있는데 이렇게 기도하면서도 다른 사람을 용서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다음 번에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여섯째, 시험에 들지 않기를 기도합니다. 오늘 우리가 어떤 죄에 빠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우리의 충성된 믿음 때문이 아닙니다. 오늘도 감당할 시험만 허락하시는 하나님의 돌보심 때문입니다. 이것을 위해 기도하라는 말씀입니다.
일곱째, 악에서 구하시기를 기도합니다. 그것은 이 악은 ‘악한 자’ 즉 우리를 악으로 끌고가는 영들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우리보다 강하고 지혜롭습니다. 오직 주님께서 지키시기 때문에 오늘도 우리가 믿음을 지킬 수 있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하나님께 있음을 인정하고 고백합니다. 내가 신앙의 주체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체이신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우리가 믿음을 받은 것도 믿음을 지키는 것도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 때문입니다. 주님께서 모든 것을 하신 것이고 우리의 순종은 지극히 작은 것입니다.
짧게 설명했지만 오늘 아침에는 이것들을 생각하면서 주님 가르쳐 주신 기도를 반복하며 깊은 기도에 들어가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