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거룩한 구별)의 의미

성별이란 자아를 의식적으로 하나님께 바치는 것, 곧 아무런 조건 없이 스스로를 산 제물로 드리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현재 우리의 모습과 소유는 물론 앞으로 되고자 하는 모습과 소유하고자 하는 것을 모두 거룩하게 구별하는 것이 성별이다.

성별은 우리 자신을 교회에 드리는 것도 아니고 단순히 교회 사역에 참여하는 것이 그치지도 않는다. 성별은 오직 하나님께만 초점을 맞추며 하나님만을 목표로 삼는다.

성별이라는 자아를 구별해 하나님께 바치는 것, 즉 자신의 존재와 소유를 거룩한 일에 사용하도록 전부 내어주는 것을 뜻한다. 어떤 것을 특별한 목적을 위해 바치는 것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성별과는 다르다.

성별은 거룩한 속성을 지닌다. 즉 성별은 거룩한 목적에 이바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를 기꺼이 하나님의 손에 내어드려 성화의 목적을 위해 거룩하고 신성한 도구로 사용되는 것이 곧 성별이다.

성별은 단지 자아를 죄와 사악한 목적으로부터 구별하는 것이 그치지 않는다. 성별은 속되고 세속적인 것은 물론 심지어 합법적인 것이라도 하나님의 계획과 갈등을 일으킬 때는 단호히 거부하는 것을 의미한다.

성별은 우리가 가진 것을 모두 하나님께 드려 필요한 일에 사용하시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 세상의 일과 하나님의 명령 사이에서 결단을 내려야 할 때, 의심스러운 것은 물론 합법적인 것까지도 과감히 포기하는 것이 곧 성별이다.

어떤 것도 남기거나 유보하지 않는 온전한 성별만이 하나님의 요구에 부합하며 하나님의 인정을 받을 수 있다. 구약시대의 번제가 제물의 일부만을 태워 바치는 것이 아니었듯이 성별도 부분적일 수 없다.

제물이 된 동물은 남김없이 바쳐졌다. 그 일부를 남겨놓는 것은 제물의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었다. 그와 마찬가지로 미온적이고 부분적인 성별은 성별이라고 할 수 없다.

하나님께서는 그런 성별을 인정하지 않으신다. 온전한 성별에는 우리의 존재와 소유 전체가 포함된다. 모든 것을 자발적으로 하나님의 손에 바쳐 하나님의 목적을 따라 사용하시게 해야 한다.

E. M. Bounds의 ‘기도해야 산다’ 중에서

Related Articles

성별(거룩한 구별)의 의미 – E. M. Bounds의 ‘기도해야 산다’ 중에서

성별이란 자아를 의식적으로 하나님께 바치는 것, 곧 아무런 조건 없이 스스로를 산 제물로 드리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현재 우리의 모습과 소유는 물론 앞으로 되고자…

성화의 사역이 쇠퇴하는 이유

일찍이 존 웨슬리는 성화의 사역이 눈에 띄게 쇠퇴하는 현상을 감지했다. 그는 잠시 시간을 갖고 그 원인을 분석하기 시작했다. 우리가 웨슬리만큼 정직하고 신령하다면 우리 안에서 하나님의…

하나님이 세상에서 일하시는 목적

하나님은 이 세상에서 위대한 사역을 행하고 계신다. 이 사역은 구원의 계획과 관련이 있으며, 구속과 섭리를 모두 포괄한다. 하나님은 지성이 있는 피조물과 함께 하나님의 영광과 피조물의…

순종과 불순종의 두 가지 선택 뿐이다

히브리서 3장 15 성경에 일렀으되 오늘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격노하시게 하던 것 같이 너희 마음을 완고하게 하지 말라 하였으니16 듣고 격노하시게 하던 자가 누구냐…

물질적인 번영과 영적 번영은 별개다

물질적인 번영이 영적 번영을 드러내는 결정적인 증거는 아니다. 전자는 후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물질적인 번영은 교계 지도자들의 눈을 쉽게 현혹해 그것을 영적 번영으로 착각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