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반역, 동조, 회개

민수기 16장  1   레위의 증손 고핫의 손자 이스할의 아들 고라와 르우벤 자손 엘리압의 아들 다단과 아비람과 벨렛의 아들 온이 당을 짓고 

2   이스라엘 자손 총회에서 택함을 받은 자 곧 회중 가운데에서 이름 있는 지휘관 이백오십 명과 함께 일어나서 모세를 거스르니라 

3   그들이 모여서 모세와 아론을 거슬러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분수에 지나도다 회중이 다 각각 거룩하고 여호와께서도 그들 중에 계시거늘 너희가 어찌하여 여호와의 총회 위에 스스로 높이느냐

광야의 여러가지 이스라엘의 반역사건 중에 가장 충격적인 결말을 맺은 것이 바로 이 사건입니다. 이 때는 열 정탐꾼과 온 이스라엘이 함께 원망해서 가나안 경계 앞에서 돌이켜 다시 광야로 길을 틀게 된 후입니다.

이들은 바로 앞에서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한 상실감, 그리고 이렇게 떠돌다가 광야에서 죽어야 한다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그 원망을 모세와 아론에게 돌리는 것입니다.

분명히 하나님께서는 그들이 하나님을 믿지 못하고 원망과 불평을 했기 때문에 이런 벌을 주신다고 했는데 이들은 더 이상 하나님을 원망하기는 두려우니 대신 모세와 아론을 걸고 넘어지는 것이지요.

하나님을 대적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무리를 짓습니다. 혼자서는 한 마디도 하지 못합니다. 언제나 자기와 같은 악한 생각을 품고 있는 사람들을 찾고 서로 악평 험담하며 마음을 확인하면서 세력을 늘리고 그 후에야 하고 싶은 말을 합니다.

반면에 하나님의 의를 따라 사는 사람들은 다릅니다. 한 명만 있어도 자기 할 말을 합니다. 노아가 그랬고,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들 그리고 구약의 모든 선지자들이 다 그랬습니다.

이스라엘이 악을 행할 때 나타난 선지자들은 항상 단 한 명이었습니다. 엘리야는 혼자서 850면의 바알과 아세라 선지자들과 싸웠습니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습니까? 그 안에 하나님의 진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진리에는 부끄러움과 두려움이 없습니다. 진리는 언제 어떤 상황에서도 틀리지 않고 아무리 세상이 변해도 절대로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옳은 것은 옳은 것이고 아닌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언제나 담대하게 외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악은 혼자서는 아무 것도 하지 못합니다. 마음에 악을 품은 사람은 세력이 불어나서 이 정도면 해 볼만 하다고 느낄 때까지는 어둠에 숨어 있습니다.

이 이스라엘 백성들이 얼마나 기세가 등등한지 보십시오. 그 리더가 된 고라와 다단과 아비람 그리고 온을 보십시오. 혼자서는 한 마디도 못하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그전까지는 그들의 이름도 나오지 않는 것이 그 증거입니다.

하지만 온 이스라엘을 꼬드겨 그들을 등에 업자 세상이 다 자기들 편인 것처럼 모세와 아론을 대적합니다. 얼마나 비겁합니까? 

16장  12   모세가 엘리압의 아들 다단과 아비람을 부르러 사람을 보냈더니 그들이 이르되 우리는 올라가지 않겠노라 

13   네가 우리를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서 이끌어 내어 광야에서 죽이려 함이 어찌 작은 일이기에 오히려 스스로 우리 위에 왕이 되려 하느냐

모세는 이들에게 각자 향로를 가지고 나와서 여호와께서 누구를 택하시는지 보자고 제안합니다. 그런데 이들은 아예 올라가지 않겠다고 말합니다. 이들은 그 결과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을 보십시오. 진짜 악인들은 자기들이 사탄을 숭배한다고 자랑하듯이 말합니다. 이들은 하나님이 없다고 미련한 대중들을 선동하지만 사실 이들은 하나님께서 살아계신 것을 알고 있습니다. 사탄을 숭배하는 것이 그 증거입니다.

이들은 모세를 대적하는 고라의 무리들처럼 하나님께서 살아계신 것을 알고 그 분의 모든 뜻도 알지만 자기들의 욕심을 위해 그 영혼을 사탄에게 판 자들인 것입니다.

그런데 성도들에게도 비슷한 문제가 있습니다. 하나님을 대적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들의 죄를 자기들이 알고 있는 것입니다. 자기에게 있는 악한 습관이 무엇인지 압니다. 당연히 버려야 할 것도 알지만 차일피일 미루고 있습니다.

17장 12   이스라엘 자손이 모세에게 말하여 이르되 보소서 우리는 죽게 되었나이다 망하게 되었나이다 다 망하게 되었나이다 

13   가까이 나아가는 자 곧 여호와의 성막에 가까이 나아가는 자마다 다 죽사오니 우리가 다 망하여야 하리이까

고라의 무리들은 그 가족과 함께 멸망합니다. 땅이 입을 벌려 그들을 삼켜버리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옵니다. 성경은 그 장면을 산채로 음부에 빠졌다고 말씀합니다. 인류역사상 산채로 음부에 빠진 사람들은 이 사람들이 유일합니다.

그런데 그보다 더 기가 막힌 일이 일어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 사건이 있은 다음 날 모세와 아론을 찾아와 그들이 고라의 무리들을 죽였다고 원망하며 폭력을 휘두른 것입니다.

자기들 눈 앞에서 땅이 갈라져 그들을 삼킨 것은 보았지만 이들 생각에는 만약 모세가 그렇게 말하지 않고 그들을 살리면서도 하나님의 뜻을 나타낼 수 있는 말을 했다면 그들이 살았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겠지요.

하지만 그렇다면 모세가 하나님의 주인입니까? 하나님은 아무런 생각도 없이 그저 모세가 하는 말을 다 들어주셔야 하는 분이 아니십니다. 땅이 입을 벌려 그들을 삼키게 한 것이 하나님의 마음이고 모세는 대언자에 불과합니다.

그렇게 이스라엘이 모세와 아론을 공격했을 때, 이스라엘 사이에 큰 전염병이 돌아 만 사천 칠백 명이 죽었습니다. 자기들이 망하게 된 것을 깨달은 그들은 그제서야 모세에게 찾아와 어떻게 해야 할지를 묻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그런 그들에게 자비하십니다. 아론과 그의 자손들 그리고 레위인들이 성소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면 이스라엘은 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하신 것입니다. 아론과 그의 자손들은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를 예표합니다. 

성도 여러분! 우리는 고라의 무리와 같고 모세와 아론을 치는 이스라엘 무리와 같은 죄인들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망하게 된 것을 깨닫고 하나님 앞에 나오면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대제사장이 되셔서 우리를 구원해 주십니다. 이것이 복음입니다.

죄를 자백하며 하나님 앞에 나아가 복음의 능력을 맛보아 아는 성도가 되기를 축원합니다.

  1. 혼자서도 하나님의 의를 선포할 수 있는 믿음의 용사가 되게 하소서
  2. 뻔한 죄들을 쥐고 있지 않게 하시고 빨리 회개하게 하소서
  3. 죄가 있으면 하나님 앞에 망하게 된다는 것을 깨닫고 자복하며 회개하게 하소서

Related Articles

순종의 딜레마

삼상 3:15 “사무엘이 … 그 이상을 엘리에게 알게 하기를 두려워하더니” 하나님은 깜짝 놀랄만한 방법으로 말씀하지 않으십니다. 오해하기 쉬운 방법으로 말씀하십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음성이 정말로 하나님의 음성인가”하고 의아해 합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강한 손으로” 말씀하셨다고 말합니다. 곧 섭리를 통하여 강권하셨다는 뜻입니다.  우리의 인생을 만지시는 분은 다름 아닌 말씀하시는 하나님 그분이십니다. 당신은 발생하는 상황을 우연으로 봅니까? 아니면 그 상황에서 하나님의 손길을 분변합니까? “주님, 말씀하소서”라고 말하는 습관을 길러 보십시오. 그러면 인생은 하나님과의 사랑의 연주곡이 될 것입니다. 어려운 일이 닥칠 때 마다 “주님, 말씀하소서”라고 말하십시오. 그리고 주의 음성을 듣는 시간을 만드십시오.  경책은 징계만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이상을 의미합니다. 즉 경책은 우리로 하여금 “주님 말씀하소서”라고 고백하는 자리로 인도합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말씀하신 때가 언제였는지 기억해 보십시오.  주님께서 무엇을 말씀하셨는지 잊으셨나요? 누가복음 11:13절이었는지 아니면 데살로니가전서 5장 23절이었는지 헷갈리나요? 주의 음성을 들으면서 우리의 귀는 예리하여집니다. 그리고 예수님처럼 하나님의 음성을 항상 들을 수 있게 됩니다. 하나님이 내게 보여주신 것을 나의 “엘리 제사장”에게 말해야 하는 것일까요? 바로 이 부분이 순~종을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딜레마에 빠지는 부분입니다. 나는 내게 가장 가까운 “엘리 제사장”의 마음을 상하지 않게 하려고 스스로 해결해 보려고 하다가 하나님을 불순종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무엘에게 엘리에게 말하라고 하지는 않으셨습니다. 그러므로 사무엘은 그 문제를 스스로 결정해야 했습니다.  당신을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은 어쩌면 당신의 “엘리 제사장”에게 아픔을 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삶의 고통을 막으려다가 당신과 하나님 사이에 방치해물을 놓을 수도 있습니다. 오른 손을 잘라내지 않고 눈을 뽑으려 하지 않다가 당신의 생명마저 잃을 수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당신 스스로 하나님 앞에서 결정하도록 요구하시는 것에 대하여 다른 사람의 조언을 얻으려 하지 마십시오. 만일 조언을 얻으려 하면 당신은 거의 언제나 사탄의 편에 서게 될 것입니다 오스왈드 챔버스의 ‘주님은 나의 최고봉’ 중에서

성경의 인물들 (21) 버림 받은 사람들 2

민수기 16장 23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24 회중에게 명령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고라와 다단과 아비람의 장막 사방에서 떠나라 하라 25 모세가 일어나 다단과 아비람에게로 가니…

끝없이 지루하고 힘든 상황 가운데

고후 6:4 “오직 모든 일에 하나님의 일꾼으로 자천하여 많이 견디는 것과 환난과 궁핍과 곤난과” 더 이상 비전도 없고 소망도 없는 가운데서 그 다음 단계를 향하여 나아가기 위하여는 전능자의 은혜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으로부터 어떠한 비전도 없고 그래서 열정도 전망도 없을 때, 헌신에 있어서, 연구에 있어서, 읽는데 있어서, 주부의 부엌일을 하는데 있어서, 책임에 있어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하여 하나님의 은혜가 훨씬 더 필요한 것입니다. 그 다음 단계를 향하여 나아가기 위하여는, 복음을 선포할 때보다 더 많은 은혜가 필요하기 때문에 더 간절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가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성육신의 근본에 참여하여야 합니다. 성육신의 근본이 그들의 살과 피가 활동하는 영역으로 나타나도록 하여야 하고, 그들의 손길을 통해서 성육신의 근본이 전달되어야 합니다. (역자 주 – 챔버스에게 있어서 성육신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역사적인 성육신과 각 개인에게 성령을 통하여 나타나는 성육신, 곧 거듭남이 있습니다. 챔버스는 이 간단한 한 구절로 구속과 거듭남을 성육신의 근본에 다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비전이 없고 활기가 없고 오직 매일 되풀이 되는 지루한 일들만 있을 때 우리는 백기를 흔들어 항복을 표합니다. 그러나 성육신의 근본을 적용하는 자는 끝까지 인내할 수 있습니다. 결국 하나님과 사람을 위하여 의미 있는 삶을 살게 되는 것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꾸준하게 인내하는 것입니다. 짓눌리지 않는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비결은 하나님만을 바라보며 사는 것입니다. 당신의 눈이 부활하신 예수님께 언제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님께 기도하십시오. 그리하면 진부하고 고리타분한 일들이라도 결코 당신을 지치게 하지 못할 것입니다. 계속적으로 조잡하고 소심한 마음과 생각에서 벗어나십시오. 이를 위하여 (예수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셨던) 요한복음 13장을 묵상하십시오

(45) 5분 이상 예수님을 잊지 않게 하소서

민수기 13장 30   갈렙이 모세 앞에서 백성을 조용하게 하고 이르되 우리가 곧 올라가서 그 땅을 취하자 능히 이기리라 하나  31   그와 함께 올라갔던 사람들은 이르되 우리는 능히…

(44) 하나님 더 알기를 힘쓰라

민수기 11장  1   여호와께서 들으시기에 백성이 악한 말로 원망하매 여호와께서 들으시고 진노하사 여호와의 불을 그들 중에 붙여서 진영 끝을 사르게 하시매  2   백성이 모세에게 부르짖으므로 모세가 여호와께 기도하니 불이…